어깨뜨거움 근육염증 외 한의학적 원인 4가지

어깨뜨거움 왜 발생할까?

어깨에 화끈거리는 느낌과 함께 통증이 발생하는
어깨뜨거움은 생각보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요,

우선 과도한 운동이나 잘못된 자세로 인해
어깨 근육이 긴장되면 열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건염이나 관절염과 같이 염증성 질환으로도
어깨열감이 야기될 수 있으며,
어깨에 타박상, 염좌 등 부상을 당할 경우 역시
열감이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부상이나 잘못된 자세로 인해
목이나 어깨 근처에 신경이 압박될 경우
통증과 함께 열감이 발생할 수 있으며,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 역시
어깨열감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의외로 많은 분들이 간과하는 원인이 있는데요,
바로 스트레스와 긴장 역시 심리적인 요인이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나 어깨뜨거움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어깨뜨거움 왜 발생할까?
어깨뜨거움 왜 발생할까?

어깨뜨거움 한의학적 4가지 원인

한의학에서는 위에 언급된 원인들 중
특히 마지막 원인인 ‘스트레스’에 주목하고 있는데요
스트레스로 인해 어깨와 같은 신체 부위에
이상열감이 발생하는 원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기혈순환 장애]
스트레스, 과로, 잘못된 자세 등은
기(氣)와 혈(血)의 흐름을 원활하지 못하게 하고
이는 체열이 어깨와 등과 같은 상체부에 고이게 만듭니다.

[간화상승(肝火上升)]
간화상승은 간의 열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어깨와 같은 상체부로 올라가는 현상을 의미하는데요,
역시 스트레스, 분노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과도한 음주 역시 간화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음허화동(陰虛火動)]
음허화동은 체내 음기(陰氣)가 부족해지는 것을 말합니다.
오랜기간 질환을 앓았거나 스트레스가 심한 경우
우리 몸에 음이 메마르고 양(陽)이 상대적으로 많아지게 되는데요

체내 양기, 즉 열기가 절대적으로 많은 것이 아니라
부족한 음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아짐에 따라
가짜열인 허열(虛熱)이 발생하고
이 허열이 어깨와 같은 상체부에 쌓이면서
어깨열감과 같은 증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습열(濕熱)의 정체]
습열정체는 체내에 습과 열이 쌓여
어깨, 등, 가슴과 같은 상체에 쌓이는 것을 말하는데
이 역시 스트레스, 불규칙한 생활습관,
과도하게 기름진 음식 섭취 등이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스트레스 외에도 외부의 찬 기운이 몸에 들어와 막혀있다가
열로 변하는 풍한(風寒)의 침입이 어깨열감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어깨를 지나는 수태양소장경, 수양명대장경과 같은
경락의 흐름이 막힐 경우 열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깨뜨거움 한의학적 4가지 원인
어깨뜨거움 한의학적 4가지 원인

증상 개선을 위해서

그렇다면 이런 어깨뜨거움 증상의 경우
어떤 방식을 통해 개선될 수 있을까요?

우선 환자가 증상을 겪는 원인이 스트레스 때문인지,
단순 골격과 근육의 문제인지부터 파악해야 합니다.

본원에서는 체열진단검사, 엑스바디검사, 옴니핏검사를 통해
환자의 체열 순환 상태와 구조적 형태,
스트레스 지수 및 자율신경계의 균형을 꼼꼼히 체크하여
어깨열감을 겪고 있는 원인을 정확히 특정합니다.

검사 결과와 환자의 체질을 토대로 개선방법이 제시되는데요,
우선 스트레스로 체내 음(陰)이 마르고 열이 쌓여
증상을 겪고 있는 환자의 경우
한약과 약침과 같은 내과적 치료가 진행됩니다.

특히 고갈된 음(陰)을 보충하고 열을 내리는데 효과적인 지황음자(地黃飮子),
간(肝)의 열을 내리고 기(氣)의 순환을 촉진하는 청간소요산(淸肝逍遙散),
신장과 간의 음(陰)을 보충하고 열을 내리는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등의
처방이 대표적이며,

해당 처방에 구성되는 숙지황, 산수유, 산약, 당귀, 백작약, 목단피 등의
한약재들의 경우 모두 엄선된 청정지역에서 재배되어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의 인증을 받아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는 순수 한약재입니다.

이런 한약의 유효성분을 약물 형태로 가공하여
환자의 혈자리에 자입하는 약침치료의 경우
염증을 감소시키고 순환을 개선하는 봉독약침,
열을 제거하고 독소를 배출하는 황련해독약침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만약 환자가 근육의 염증이나 부상,
잘못된 자세 등으로 인한 신체의 구조적 변형으로
어깨에 뜨거움을 느끼는 경우
추나요법과 도침치료가 시행될 수 있습니다.

추나요법은 한의사가 수기로
환자의 신체 부위를 조정하고 교정하는 요법으로
틀어진 구조를 정밀 교정하여
통증과 감각이상을 해소하고
관절기능을 끌어올림은 물론 혈액순환까지 촉진하는
한의학적 치료방법입니다.

도침치료는 침 끝이 뭉뚝한 특수침을
문제부위에 빠르게 절필하여
압박된 신경을 풀어주고 통증과 열감과 같은
감각이상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위의 치료방법들과 함께
본원에서는 환자의 심리상태까지 케어할 수 있는
조절인지치료를 진행하고 있는데요,

조절인지치료는 특히 옴니핏검사에서
스트레스지수가 다른 분들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오고
자율신경계와 두뇌의 균형이 파괴된 것으로 나오는 분들께 적합합니다.

특히 이런 분들의 경우 통증에 대한 두려움 또한
극심해져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부정적인 감정들이 환자 스스로로부터 기인한 것임을 인지시키고
긍정적인 생각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조절인지치료의 목표입니다.

어깨열감과 같이 스트레스 등으로
체내 균형이 무너져 발생하는 질환의 경우
이렇게 환자의 심리까지 케어할 수 있는
전인적인 방안이 제시될 수 있어야 합니다.

더 많은 정보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증상 개선을 위해서
증상 개선을 위해서

배열증 증상 문의하고 싶다면

본아한의원 유튜브 시청하기

본아한의원 문의하기

함께 읽으면 좋은글

뒷목차가움, 배한증 궁금하다면?

명치열감 증상 7가지 무엇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