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에서는 안면홍조를 단순히 피부에 나타나는
일시적인 현상이나 피부 질환으로 보지 않습니다.
얼굴이 붉어지는 것은 신체 내부의 불균형이 외부로 드러난 결과로 해석하며,
따라서 치료의 목표도 피부만을 진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전신의 균형을 회복하는 데 있습니다.
안면홍조 치료, 한의학적 5가지 원인
안면홍조의 원인은 여러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먼저 상열하한은 상체에 열이 많고 하체는 차가운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경우 기혈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얼굴로 열이 몰리지만, 아랫배와 손발은 차갑게 느껴집니다.
특히 갱년기 여성에게서 자주 나타나는 유형입니다.
심화는 과도한 스트레스나 긴장으로 인해 심장 기능에 열이 쌓인 상태를 말합니다.
이 열이 위로 올라오면서 얼굴이 붉어지고,
종종 가슴 두근거림이나 불안, 불면과 같은 증상이 동반됩니다.
간울혈열은 스트레스, 고지방 음식, 과도한 음주로 간의 기능이 저하되고 열이 쌓인 상태입니다.
이 경우 가슴이 답답하고 화를 잘 내며, 여성은 월경 불순이나 유방통을 함께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음허는 체내 진액이 부족해 상대적으로 열이 뜨는 상태로,
피로감이나 피부 건조, 식은땀과 함께 홍조가 나타납니다.
위장습열은 고칼로리, 고지방 음식 위주의 식습관으로
위와 장에 습열이 쌓여 얼굴로 열이 올라오는 경우이며,
역류성 식도염이나 위산 과다 증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안면홍조 치료, 한의학적 치료는?
한의학적 치료는 이러한 원인을 정확히 진단한 뒤
체질과 상태에 맞춘 맞춤형 방법을 적용합니다.
한약 치료는 환자의 유형에 따라 청열약, 자음약, 순환을 돕는 약재 등을 활용합니다.
청열약은 가슴과 얼굴에 쌓인 열을 내려주고,
자음약은 음혈을 보충하여 허열을 가라앉히며,
순환 개선 약재는 기혈 순환을 원활하게 해 얼굴로 몰린 열을 분산시킵니다.
갱년기 여성의 안면홍조에는 호르몬 불균형을 조절하는 한약 처방이 함께 쓰이기도 합니다.
침 치료는 얼굴과 목 주변의 경혈을 자극해 기혈 순환을 촉진하고,
혈관 확장을 조절해 홍조 완화에 도움을 줍니다.
약침 치료는 한약재를 정제해 경혈에 직접 주입하여 침과 한약의 효과를 동시에 노리는 방법입니다.
또한 뜸 치료를 통해 하복부나 손발처럼 냉증이 있는 부위에 온열 자극을 주어
전신의 온도 균형과 순환을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한의학에서는 안면홍조를 단순한 외형적 증상으로만 다루지 않고,
내부 장부와 기혈의 균형을 바로잡아 전신적인 회복을 목표로 합니다.
따라서 안면홍조와 함께 동반되는 불면, 피로, 소화 불량 등의 문제까지
동시에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